Chains

BNB Smart Chain

Build web3 dApps effortlessly

BNB Beacon Chain

Sunset Complete

BNB ecosystem’s staking & governance layer

DocumentationGitHubFaucetStake BNBBscScanBSCTraceDev ToolsLearn more about FusionDocumentationBeacon Chain ExplorerToken Recovery ToolDocumentationGitHubFaucetBridgeGreenfieldScanDCellarDev ToolsDocumentationGitHubFaucetBridgeopBNBScanDev ToolsDocumentationGitHub

Developers


Submit dApps

BNB Smart ChainBNB GreenfieldopBNBzkBNBBNB HackBNB Incubation Alliance (BIA)Most Valuable Builder Accelerator Program (MVB)BNB Chain GrantsKickstartGas GrantsTVL Incentive ProgramMEME Coins InnovationSee All Programs

Solutions

Tokenization

Get Your Business Into Web3

Company TokenizationReal World Assets TokenizationNFT Loyalty Program

Ecosystem

Staking

Earn BNB and rewards effortlessly

Native StakingLiquid Staking

Community

Careers🔥

Explore Opportunities on BNB Chain

BNB Chain CareersEcosystem Jobs
Contact UsGet Started
Contact UsGet Started

BNB 체인에서 밈코인을 출시하는 방법 – 단계별 가이드

2025.1.24  •  13 min read
Blog post image.

밈코인은 유머, 문화, 그리고 커뮤니티 참여를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는 방식 덕분에 암호화폐에서 가장 지속적인 현상 중 하나로 남아 있습니다. 최근에 우리는 자신만의 밈코인을 만드는 데 필요한 주요 고려사항을 강조한 블로그를 게시했습니다.

오늘은 한 걸음 더 나아가겠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BNB 체인에서 밈코인을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따라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단계와 전략을 알려드리겠습니다.

BNB 체인에서 밈코인 만들기: 다양한 접근 방식

BNB 체인의 밈코인 솔루션 페이지에서 여러 밈 런치패드를 찾아보고 자신만의 밈코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밈 토큰을 만들기 위해 따라할 수 있는 세 가지 접근 방식입니다:

  • 본딩 커브 (Bonding curve)
  • 프리론치 (Prelaunch)
  • 유동성 풀 설정 (Set up a liquidity pool)

접근 방식 1: 본딩 커브 런치패드 사용하기

본딩 커브 런치패드는 가격 곡선에 따라 토큰이 발행되고 판매되는 분산형 메커니즘입니다. 이 방법은 공정한 분배와 가격 발견을 보장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Four.Meme 플랫폼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1단계: 지갑 연결하기

Four.Meme 플랫폼을 방문하여 지갑을 연결하여 시작합니다. BNB 체인과 Four.Meme 플랫폼을 지원하는 다양한 지갑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이낸스 앱과 통합된 바이낸스 지갑, 트러스트 월렛 또는 기타 호환 가능한 지갑이 있습니다. 지갑에 자금이 충전되어 있고 거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연결이 완료되면 "Create Token"을 클릭합니다.

2단계: 지갑 세부정보 입력하기

다음으로, [Create Token] 페이지에서 필요한 필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1. 토큰 세부정보:
    • 토큰 이름티커 심볼을 입력합니다 (예: MEMECOIN, MEME).
    • 토큰의 목적이나 주제를 강조하는 설명을 제공합니다.
  1. 로고 업로드:
    • 파일 크기가 5MB 미만인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로고).
  1. 토큰 정보:
    • 모금된 토큰을 선택합니다 (밈코인과 쌍을 이루는 토큰, 예: BNB).
    • 웹사이트 URL과 SNS 링크 (예: 트위터 및 텔레그램)를 제공합니다(선택 사항).
  1. 토큰 태그:
    • 적절하게 분류하기 위해 토큰 태그로 MEME를 선택합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Insufficient Assets” 버튼을 클릭합니다.

3단계: 토큰 목록에 추가하기

이 단계에서는 토큰이 보드에 목록화됩니다. 본딩 커브가 100%에 도달하면, 유동성 풀은 자동으로 PancakeSwap에서 생성됩니다.

접근 방법 2: 프리론치 사용하기

Pinksale과 같은 프리론치 플랫폼을 사용하여 밈코인을 출시할 수 있습니다. Pinksale에서 프리세일은 자금을 모으고, 커뮤니티를 구축하며, 성공적인 출시를 위해 토큰을 준비할 수 있는 간소화된 과정입니다.

1단계: 토큰 검증하기

시작하려면 Pinksale 플랫폼을 방문하고 지갑을 연결하세요. 트러스트 월렛과 같은 BNB 체인과 호환되는 지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갑이 연결되면 "Launchpads"를 선택한 후 "Create Presale"을 클릭하세요.

이미 토큰이 있는 경우, 해당 주소를 입력하여 프리세일에 연결하세요. 토큰이 없는 경우, 플랫폼에서 직접 새 토큰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금 조달에 사용할 통화를 지정하세요. BNB가 기본 옵션이지만, 이 가이드를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프리세일에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으로, 수수료 옵션을 선택하고 자동 상장(최종화 후 유동성이 자동으로 추가되는 경우) 또는 수동 상장(유동성 추가를 수동으로 관리하는 경우) 중 원하는 방식을 결정하세요.

2단계: 프리세일 정보 입력하기

이 단계에서는 프리세일의 매개변수를 정의합니다. 입력해야 할 주요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프리세일 비율: 기여자가 프리세일 동안 BNB(또는 다른 통화)당 얼마나 많은 토큰을 받는지를 결정합니다.
  • 화이트리스트 옵션: 승인된 기여자의 화이트리스트가 있는 경우, 이 기능을 활성화하세요. 언제든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소프트 캡 및 하드 캡: 소프트 캡은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금액이며, 하드 캡은 최대 목표입니다. 소프트 캡은 하드 캡의 최소 25% 이상이어야 합니다.
  • 환불 유형: 프리세일이 소프트 캡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환불 또는 소각 메커니즘 중에서 선택하세요.
  • 유동성 할당: 모금된 자금 중 유동성에 할당할 비율을 지정하세요(최소 51%, 최대 100%).
  • 상장 비율: 유동성 풀에서의 초기 토큰 가격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장 비율은 프리세일 비율보다 낮게 설정되어 더 높은 상장 가격을 보장합니다.
  • 시작 및 종료 시간: 프리세일 시작 시간이 종료 시간보다 먼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유동성 잠금 기간: 유동성 풀이 잠겨 있을 기간(일수)을 표시하세요.
  • 베스팅 일정: 해당되는 경우, 기여자를 위한 베스팅 일정을 설정하세요(베스팅 기여자 기능 사용).

프리세일에 필요한 총 토큰 수가 내비게이션 버튼 위에 표시됩니다. Pinksale 계산기를 사용하여 토큰 경제를 최적화할 수도 있습니다. 모든 매개변수가 설정되면 "Next"를 클릭하여 계속 진행하세요.

3단계: 로고, 소셜 미디어 및 웹사이트 정보 추가

로고 URL을 업로드하고 프로젝트의 공식 웹사이트 링크를 입력하세요. 관련 SNS 정보도 추가하세요.

4단계: 프리세일 최종화 및 시작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입력한 모든 세부사항을 검토합니다. 필요한 변경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입니다.

모든 내용이 올바르게 보이면 "Approve Spending Token"을 클릭하여 Pinksale이 프리세일에 필요한 토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합니다. 지갑에서 거래를 확인하고 "Submit"을 클릭하여 프리세일 설정을 완료합니다.

제출 후, 지갑에서 거래 수수료를 확인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수수료를 승인한 후, 프리세일이 Pinksale에서 시작됩니다. 플랫폼은 프리세일 링크를 표시하며, 링크를 커뮤니티와 공유하여 기여자를 유치할 수 있습니다.

접근 방법 3: 유동성 풀 설정

유동성 풀을 설정하여 밈코인을 배포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단계: 토큰 정보 준비

토큰을 배포하기 전에 모든 중요한 세부사항이 최종화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토큰 이름: 밈코인에 대한 공식적이고 기억에 남는 이름을 선택합니다.
  • 토큰 로고: 고해상도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 토큰 설명: 토큰의 목적, 유용성 및 고유한 기능을 설명하는 간결하고 매력적인 설명을 작성합니다.
  • 토큰 공급량: 토큰 경제학의 기초가 되는 발행할 총 토큰 수를 정의합니다.
  • 토큰 할당: 공공 판매, 팀 예비금 및 생태계 인센티브를 위한 토큰 할당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배포 계획을 개발합니다.
  • 지정된 대상 주소: 유동성 풀, 토큰 잠금 및 생태계 예비금과 같은 특정 용도로 사용할 4-5개의 지갑 주소를 생성합니다. Binance Wallet 또는 Trust Wallet과 같은 BNB 스마트 체인과 호환되는 지갑을 사용합니다.

2단계: 밈 런치패드 선택

배포를 간소화하기 위해 Four.Meme과 같은 런치패드 플랫폼을 선택합니다. 플랫폼의 작동 방식은 "접근 방법 #1"에서 설명했습니다. Four.Meme은 배포 과정을 안내하는 비즈니스 개발 지원을 제공합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다음 연락처를 통해 소통할 수 있습니다:

  • 텔레그램: @EddieFour
  • 이메일: support@four.meme

3단계: 유통 토큰 할당

토큰 생성 이벤트(TGE)가 발생하면, 일부 토큰은 유통 공급으로 지정되어야 합니다. 해당 토큰은 자동으로 유동성 풀에 추가됩니다.

  • PancakeSwap 또는 Thena와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여 유동성 풀을 생성합니다.
  • 자본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단일 측면 V3 집중 유동성 풀을 선택합니다. 이 설정은 슬리피지를 줄이고 구매자에게 더 나은 거래 경험을 보장합니다.

4단계: 토큰 잠금 메커니즘 설정

투자자 신뢰를 구축하고 장기 프로젝트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특정 부분의 토큰을 잠급니다.

  • 잠금된 토큰을 토큰 경제학에서 지정한 주소에 할당합니다.
  • 토큰을 잠금 해제하기 위한 구조화된 배포 일정을 따릅니다. 몇 개월 또는 몇 년에 걸친 분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PinkLock과 같은 잠금 도구를 사용하여 이러한 메커니즘을 모니터링하고 시행합니다.

5단계: 유동성 풀 수익 분배 관리

유동성 풀(LP)은 거래 수수료로 수익을 생성합니다. 현재 LP 수익 분배는 수동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 정기적으로 LP 수익을 추출합니다.
  • 추출된 수익을 재투자 또는 운영 용도로 지정된 주소에 분배합니다.
  • 필요한 경우 Four.Meme 팀이 이 프로세스 관리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6단계: 시장 조성자와 협력

시장 조성자(MM)는 유동성 풀 성능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MM을 지정하여:

  •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고 토큰 변동성을 줄입니다.
  • 시장 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유동성 풀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토큰의 목표와 거래량에 맞춘 운영 계획을 구현합니다.

7단계: 토큰 정보 통합

가시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정보 플랫폼에 토큰을 등록합니다.

  • CoinMarketCap 또는 ave.ai와 같은 플랫폼에 토큰을 등록합니다.
  • 지갑 및 dApp은 이후 유저의 토큰 정보를 원활하게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과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시면 BNB 체인에게 도움을 요청하세요

위에서 설명한 세 가지 접근 방법은 새로운 밈코인을 성공적으로 출시하기 위한 포괄적인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 $TRUMP"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 BNB 체인의 BD 팀에 1:1 지도를 요청해 주세요.

해당 양식을 작성해 주시면 BNB 체인 팀이 응답할 예정입니다.

BNB 체인을 팔로우하고 생태계 관련 소식을 받아보세요.

Website | X | Telegram | Facebook | dApp Store | YouTube | Discord | LinkedIn | Build N' Build Forum

Share